노후 대비를 위한 대비책 하면은 국민연금이 떠오르는데요. 작년 한해 국민연금을 신청한 2명 중 1명이 조기수령 수급권자인만큼 조기 국민연금수령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현실입니다. 오늘은 2024 국민연금 조기수령 수령나이 조건 및 신청방법을 정리해봤습니다.
1. 국민연금 수령나이
국민연금은 국민의 생활안정과 복지향상을 목적으로 가입자에게 국가가 정해진 액수의 보험료를 평생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출생연도에 따라 수급 개시 연령이 달라지지만, 최근 고령화가 심각해지면서 수령나이가 점차 늘고 있어 2024년도 국민연금 수령나이가 1961년생은 만 62세에서 만 63세로 한살 늦춰졌습니다. 현재 1969년 이후 출생자는 만 65세가 되는 다음 달부터 연금을 수령하게 되는데, 노령화뿐만 아니라 출산율 저하에 따른 영향도 크게 작용한 것 같습니다. 이외에도 1953년~1956년생은 만 61세, 1957년~1960년생은 만 62세, 1965~1968년생은 만 64세부터 노령연금을 받게 됩니다.
2. 국민연금 조기수령
일반적으로 정해진 만나이가 되면 노령연금을 받지만 국민연금 수급개시 연령보다 최대 5년을 앞당겨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조기노령연금을 신청하여 받기도 하는데요. 그러나 몇년 일찍 받는 것에 대한 패널티가 분명히 존재하기 때문에 당장의 생활이 어렵지 않다면 굳이 조기노령연금을 노리실 필요는 없습니다. 1년 일찍 받을 때마다 일반적으로 받는 노령연금 금액에서 6%가 차감되어 지급되기 때문에 최대 5년을 일찍 받는다면 최대 30%의 감액이 발생하게 됩니다. 제 주위의 부모님 세대들 보면은 전문직에 종사하신 분들은 정년 후에도 계약직으로 간단한 일거리를 하시는 분들이 계시지만, 일용직 같은 경우에는 새해부터 일거리 감소로 인해 생활이 어렵다는 뉴스를 접합니다. 일반 기업 정년나이가 만 53~55세이며 대기업 같은 경우에는 더 일찍 퇴직을 하실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실 수 없는 많은 분들은 조기수령을 선택하실 거라 생각이 듭니다.
그렇다면, 연금을 빨리 받으면 무조건 좋을까요? 조기노령연금은 수령나이에 따라 지급률이 달라지기 때문에 수급개시연령부터 매달 지급되는 금액을 계산해봐야 합니다. 수급개시연령이 만 65세인 1969년생이 조기노령연금을 청구한다고 가정했을 시에, 만 64세에는 원래의 연금액의 94%, 만 63세에는 88%, 만 62세에는 82%, 만 61세에는 76%, 만 60세에는 70%로 지급액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조기수령 시에는 연금을 빨리 받기 때문에 초기 수령합은 크나 약 12년인 148개월이 된 시점부터는 만 65세부터 수령한 사람과 동일해지며, 이후에는 조기수령을 선택한 쪽이 금액 합이 적어집니다. 따라서 당장 건강악화 및 생활고에 시달리거나 모아둔 목돈으로 사업 및 재테크로 12년 뒤 수령자보다 여유로운 삶을 계획하시는 분이 아니시라면 일반노령연금을 택하는 것이 나아보이나, 현재 국민연금 고갈에 대한 염려로 조기수령 신청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만큼 따로 수령시기에 대한 정답은 없어보입니다.
3. 국민연금 조기수령 조건
국민연금 조기수령을 위해서는 4가지 조건을 충족하여야 하는데요. 먼저,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9년 11개월동안 가입하신 분들이라면 조기수령을 할 수 없으며, 일반적인 노령연금 개시 나이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두 번째, 56세 이상인 가입자가 소득이 있는 업무에 종사하지 않은 상태여야 하는데요. 구체적으로, 월 평균적으로 벌어들인 소득이 수급 직전 3년간의 평균액을 초과하면 안됩니다. 국민연금에선 이 기준을 ‘A 값’이라고 하며 2022년 A 값은 2,681,724원입니다. 세 번째, 국민연금 조기수령 나이를 충족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는 본인 신청이 필수적인데, 수급권자가 행위능력 제한자이거나 기타 부득이한 사유로 직접 신청이 어려운 경우에는 대리 신청이 가능합니다.
4. 국민연금 조기수령 신청방법
국민연금 조기수령을 신청하기 전에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은데요. 본인 인증 및 로그인을 통해 정확하게 금액을 확인하는 방법도 있지만 별도 인증 절차없이 월 납입보험료를 입력하여 대략적인 모의 계산해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국민연금 홈페이지 -> 자주 찾는 서비스 -> 내 연금 알아보기 -> 로그인 -> 예상연금액조회”로 예상수령금액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예상연금액은 현재 기준으로 하는 것이고 미래가치 예상금액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는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금액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래 예상수령액 조회 및 모의계산 페이지를 링크하였으니 이참에 한번 계산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5. 마치며
국민연금 조기수령뿐만 아니라 중도 해지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도 계실텐데요. 국민연금은 만 18세이상 60세미만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하지만, 갈수록 늦춰지는 수령나이 및 연금고갈에 대한 걱정 때문에 해지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는 현실입니다. 그렇다면 국민연금 해지방법이 있을까요? 정답은 NO입니다. 단, 예외적으로 60세에 연금 납입기간 10년을 채우지 못할 경우, 사망자가 유족연금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대한민국 국적을 상실했거나 국외로 이주한 경우에는 해지가 가능하다고 하네요.
오늘 2024년을 맞이하여 노년층 분들이 궁금해할 국민연금 조기수령 나이 조건 신청방법에 대해 정리해봤는데요. 정년퇴직 후에도 일거리를 찾으시는 중위소득 60% 이하분들이 관심있으실 구직촉진수당에 관한 포스팅 및 정년퇴직금 계산 포스팅을 아래에 공유하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