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휴수당은 월급을 받으시는 분들이라면 크게 신경쓰지 않지만, 알바하시는 분들이라면 따져보게 되는데요. 오늘은 2024 알바 주휴수당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추가로 주휴수당 계산기 조건 지급기준 계산법까지 알아볼게요.
1. 2024 알바 주휴수당이란?
2024 알바 주휴수당은 상시근로자 또는 단기간(알바) 근로자에 관계없이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한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되는 수당입니다. 근로기준법 제 55조에 따르면 고용주는 일주일 동안 개근한 근로자에게 1주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주어야 하는데요. 이를 주휴일이라 하며, 주휴수당은 이 주휴일에 하루치 별도 임금을 지급하는 수당을 말해요. 고용주는 주휴일에 통상적인 근로일의 하루치 임금을 주급과 별도로 산정하여 노동자에게 지금됨을 사전에 서면으로 통보해야 합니다.
2. 주휴수당 지급기준
주휴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는 기준은 “일주일에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과 “한달(4주)를 기준으로 주당 평균 15시간 이상”을 충족해야 하는데요. 쉽게 말해서 한달 개근한 근로자가 주당 15시간을 일해아 받을 수 있답니다. 예를 들어, 일주일에 3번만 일하는 근로자라도 한달 4주간 주당 평균 15시간 이상 근무하였다면 받을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예시를 들어볼까요? 일주일에 하루 15시간을 4주간 일해도 받을 수 있으며, 만약 알바 근로계약을 3주로 했을 시에는 3주를 평균으로 하여 주당 15시간 이상일 시에 받을 수 있습니다.
3. 주휴수당 조건 및 계산법
2024 알바 주휴수당 계산법을 말씀드리기 전에, 2024년 최저임금은 시간당 9,860원으로 2023년 대비 2.5%가 인상되었는데요. 주휴수당 및 4대 보험을 포함한다면 1만 2,900원으로 실질 최저임금은 1만원을 넘긴지 오래입니다. 주휴수당 계산에는 주당 40시간 이상 근로자와 주당 40시간 미만 근로자를 구분하여 계산합니다. 직장인과 같은 주당 40시간 이상 근로자의 주휴수당을 네이버 주휴수당 계산기로 계산해보겠습니다. 주 40시간 이상 근로자는 주당 하루임금을 그대로 한번 더 받는다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2024년 최저시급 9,860원 X 하루 8시간 X 5일을 기준으로 했을 때 예상 주휴수당은 78,880원입니다.
4. 알바 주휴수당 계산기
주당 40시간 미만 근로자를 자칭 알바라고 했을 때, 일반 직장인들과 주휴수당이 다소 차이가 있는데요. 만약에 일주일에 3일(하루에 각 5시간씩) 근로하여 주당 15시간 조건을 충족했고 정해진 기간을 빠짐없이 근로했다고 했을 때, 주 40시간 미만의 3일 근로자는 3일치 임금을 5일치로 나누어야 합니다. 2024년 최저시급 9,860원 X 5시간 X 3일 = 147,900원 => 147,900원을 5로 나눈 29,580원이 주휴수당이 됩니다. 주 40시간 미만 근로자의 주휴수당이 주 40시간 이상 근로자의 주휴수당과 다르다는 것을 아실 수 있습니다.
5. 마치며
직장인 약 1천명 중 약 15%가 주말에도 출근한다고 합니다. 이 중 5인 미만 사업자 비율은 1/3 수준으로 가장 높았으며, 최근 정부의 근로기준법 적용 대상을 5인 미만 사업자까지 확대하여 전면 적용을 추진하고 있지만 소상공인의 반발이 심한 상황입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근로자들도 스스로의 정당한 권리를 찾기에 주저하지 않는 현실이기에 주휴수당 지급기준이 어려워서 혹시라도 지금까지 놓치고 있었다면 이 글을 통해서 이해하셨으면 합니다. 아래에 주휴수당을 검색해서 들어오신 독자분들이 관심있을만한 실업급여 및 퇴직금 계산기에 관한 포스팅을 공유하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